DevOps/Docker 2

[Docker] Docker 동작 원리

1. Docker의 구조 물리서버 > 리눅스 운영체제 > 도커 엔진 > 컨테이너 도커와 컨테이너는 서버에서 사용되며, 위 그림과 같이 운영체제 위에 도커가 위치해있다. 또, 그 도커 위에 컨테이너가 위치해있다. 우선 컨테이너 안에는 어떤 구조로 되어있을까? 모든 컨테이너는 '리눅스 운영체제 비슷한 무언가'가 들어있다. 본래 운영체제는 '커널'과 '그 외 주변 부분'으로 이루어져있는데, 이 컨테이너 안에 '그 외 주변 부분'이 들어있는 것이다. - 도커와 컨테이너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서 밑바탕인 리눅스 운영체제의 주변 부분이 컨테이너 속 프로그램 명령을 직접적으로 전달을 주고 받을 수 없다. 무조건 도커 엔진을 커져야 한다. - 이처럼 그 외 주변 부분만 컨테이너가 담고 있고, 커널은 밑바탕에 있는 것들..

DevOps/Docker 2023.07.12

[Docker] Docker를 왜 사용할까

Docker란 ?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입니다. 다양한 프로그램, 실행환경을 컨테이너로 추상화하고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프로그램 배포, 관리를 쉽고 단순하게 해줍니다. *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 환경에 구애 받지 않고 실행하는 기술 그렇다면 Docker는 가상화인가 ?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닙니다. 도커는 가상화와 유사하지만 가상화는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운영체제(OS)를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술인 반면, 도커는 호스트 OS위에 게스트 OS 전체를 가상화하여 사용합니다. 따라서 가상화는 다양한 OS환경을 운영하는데 적합하고, 도커는 단일 기존의 OS를 더 빠르게 생성하고 사용하는데 유리합니다. 즉 물리적 서버와 가상 서버 간 어플리케이션 이동이 쉬워집니다. Docker를 ..

DevOps/Docker 2020.12.12